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김숭늉 작가의 유쾌한 왕따의 2부인 인기웹툰 <유쾌한 이웃>을 원작으로 한 작품입니다. 신선한 소재와 현실감 있는 연출로 호평을 받은 넷플릭스 시리즈 <지옥>과 <D.P.>를 제작한 클라이맥스 스튜디오가 제작에 참여했습니다.
궁금해하시는 영화 줄거리와 등장인물 및 출연배우,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의미와 뜻, 아파트 및 영화 제작 세트, 손익분기점과 후기 남겨 드립니다. 영화 줄거리에는 스포가 되는 결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폐허 속 유일한 곳 황궁 아파트, 영화의 줄거리와 결말
대지진으로 서울이 하루아침에 폐허가 되며 스토리가 시작됩니다. 모든 것이 무너졌지만 단 한 곳 황궁 아파트만이 유일하게 남아있습니다. 서울에 강추위까지 덮치자 소문을 들은 외부의 생존자들은 황궁 아파트로 몰려들고 이는 입주민들에게 거대한 위협으로 다가옵니다.
이에 생존을 위해 입주민들은 하나가 되었고, 화재를 진압하며 신임을 얻은 영탁을 새로운 주민 대표로 선발합니다. 그를 중심으로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히 막아서며 내부인들이 지켜야 할 새로운 규칙도 만듭니다. 이제 생존한 자는 규칙을 따라야 하고 규칙을 따르지 않는 자는 아파트를 떠나야 합니다.
황궁아파트 사람들에게 대지진과 바깥세상은 이제 더 이상 중요하지 않습니다. 밖은 폐허가 된 지옥이지만 황궁 아파트는 삶을 이어 나갈 새로운 모든 세계이자 더없이 안전하고 평화로운 유토피아입니다.
하지만 유토피아에도 안팎으로 생존을 위협할 사건들은 계속해서 발생하고 아파트 입주민들 사이에 예상치 못한 갈등과 긴장이 생겨납니다. 생존에 대한 욕구가 강해질수록 긴장감은 더욱 팽팽해져 갑니다.
영화의 결말에 따뜻함으로 모든 상황을 감쌀 것 같았던 명화는 희생과 정의의 리더십을 보여주던 동대표 영탁의 진실과 치부를 밝혀냅니다. 드러난 비밀로 영탁은 이성을 잃게 되고 이 일로 황궁 아파트가 아수라장이 된 그때 외부인들의 기습 공격이 가지며 단단한 콘크리트의 유토피아는 무너지고 맙니다.
황궁 아파트 입주민 명단 (등장인물, 출연진)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잉투기>, <가려진 시간>등 다수의 작품을 연출한 엄태화 감독이 연출과 각본을 맡았고, 배우 이병헌을 비롯 박서준, 박보영, 김선영, 박지후, 김도윤 등 호화 캐스팅으로 관심과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영탁(이병헌)은 아파트에 발생한 화재를 순식간에 해결하며 황궁 아파트의 주민 대표로 발탁됩니다. 위험을 마다하지 않는 추진력과 희생정신으로 주민들의 신뢰를 얻고, 그와 동시에 공고한 권력을 가지게 됩니다. 친근한 이웃의 소탈한 웃음을 보이다가도 결정적인 순간 폭발적인 카리스마를 발산하며 배우 이병헌은 관객을 압도합니다.
성실한 공무원 남편인 민성(박서준)은 자신과 아내의 생존을 위해 리더인 영탁과 연대를 맺고 그의 조력자가 되면서 변화해 는 인물입니다. 선택의 갈림길에서 고민하고 갈등하는 민성의 모습과 점차 변해가는 그의 내면을 배우 박서준은 섬세한 연기로 설득력 있게 그려냅니다.
민성의 아내 명화(박보영)는 간호사 출신답게 극한의 상황에서도 외부인도 아파트 입주민도 모두 함께 살아남아야 한다는 또 다른 선택지를 제시하며 인간미와 강인함을 보여줍니다
금애(김선영)는 황궁 아파트를 속속들이 아는 부녀회장입니다. 발빠른 상황 판단으로 자연스럽게 권력의 가장 가까이에 자리 잡습니다.
혜원(박지후)은 외부에서 황궁 아파트로 살아 돌아왔기에 주민들 사이에서 이질적 존재이며 긴장감을 불러일으킵니다.
도균(김도윤)은 최소한의 규칙만 따르는 비협조적인 모습으로 주민들과 마찰을 일으키며 위태로운 분위기를 조성하는 입주민 입니다. 배우 김도윤의 디테일한 표현력으로 도균은 특별한 존재감을 발산합니다.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뜻과 의미, 아파트 세트, 손익분기점 등 정보와 후기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평온한 안식처이자 삶의 터전인 가족만의 공간, 아파트가 이 세상의 유일한 피난처, 콘크리트처럼 단단하게 삶을 유지시켜 줄 유토피아가 된다는 의미와 전제를 가진 결이 다른 재난 영화입니다.
엄태화 감독이 이 재난 영화를 제작하면서 모든 방면에서 강조한 것은 리얼리티입니다. 가장 중요한 공간인 황궁 아파트의 사실적인 규모감을 구현하기 위해 실제 건설에 준할 정도의 아파트 세트를 3층까지 짓고 내부 디자인을 꾸몄습니다.
서울 한복판을 휩쓴 대지진을 눈앞에서 실제로 목격하는 것 같은 스펙터클한 장면을 위해 땅이 갈라지고 건물들이 무너지는 장면을 100개가 넘는 버전으로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했습니다. 또한 폐허가 된 서울의 리얼한 모습을 살리기 위해 직접 발로 뛰어가며 얻은 만장이 넘는 서울의 사진들을 관찰하여 간판이나 표지판, 가로등 하나하나까지의 디테일을 살려 냈다고 합니다.
영화의 제박비는 200억을 넘었고 손익분기점은 410만 명 관객이라고 합니다. 제작진의 섬세한 열정으로 탄생한 리얼한 볼거리와 연출, 한정된 공간과 상황이라는 설정 속에서 재난을 피해 밀집된 사람들이 전해주는 메시지, 섬세하고 대범한 배우들의 연기들로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개봉하자마자 영화 <밀수>를 2위로 밀어내고 1위에 올랐습니다. 국내 반응 못지않게 해외 반응도 좋아 개봉 전에 이미 현재 152개국에 선판매가 되었고, 56회 시체스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와 제43회 하와이 국제 영화제 공식 초청 되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생존이 걸린 극한의 상황가운데 선명히 드러나는 다양한 인간 군상들을 보여주면서 현대 사회의 유토피아가 어디인지, 무엇으로 콘트리트처럼 단단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생각해 보게 하는 날카로운 공감과 성찰을 선사하는 영화입니다.